목구조주택은 나무를 구조체로 하여 지어진 건축물을 말하며 구조재로 사용된 목재의 규격, 크기 및 시공방법에 따라 통나무 주택 (log house), 기둥-보 구조 주택( post & beam), 경량 목구조주택(light weight- wood flame house) 등으로 분류된다.
1. 경량목구조 (Light Weight Wood Frame House)
투바이포공법으로도 불러지는 경량목구조는 단면이 2인치 X 4인치(혹은 6인치)의 각재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격판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어 수평수직하중에 저항하는 “상자형 구조(box system)"로서, 설계상 거의 제약이 없어 원하는 구조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지진에도 강한 저항 능력을 가진다. 경량목구조공법은 가벼운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2백년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며 오늘날 가장 과학적으로 발전된 일반적이며 대중적인 건축양식으로서 미국, 캐나다 등 일반 주택의 대부분이 이 방식으로 건축되었다.
![]() |
![]() |
![]() |
2. 기둥-보 구조 방식 (Post & Beam)
가장 오래된 목구조 방식 중 하나로 통나무 구조에서 발전된 건축양식이다. 주로 상업건물이나, 규모가 큰 주택등에 사용되며 요즘에는 전형적인 플랫폼구조와 혼용되기도 한다.
![]() |
![]() |
![]() |
3. 중(重)목구조 방식 (Heavy Timber Framing System)
기본적으로 기둥-보 방식과 동일한데 다른점은 구조용 목재로 큰 각재 (heavy timber)를 사용하여 건축한다는 것이다. 큰 각재로 분류되는 최소한의 규격을 지니는 목재로 구성되는데 중목구조에 요구되는 부재의 최소 규격은 화재 시 구조체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
![]() |
![]() |
4. 통나무구조 방식 (Log House, Log Cabin)
원현 또는 각형의 수평목을 내력벽으로 하고 나머지 바닥이나 지붕구조는 2x4경량 목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벽체가 통나무를 쌓는 구조이기 때문에 1개층 높이에서 7~12cm의 침하가 장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창문틀 등의 개구부에는 침하를 고려한 디테일을 만들어야 한다. 주로 추운지방 북유럽, 내륙지방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 |
![]() |
![]() |
'집짓는 이야기 > 목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주택이 인간 생활에 무엇이 좋은가? (0) | 2009.06.02 |
---|---|
목조주택의 특징 및 장점 (0) | 2009.06.02 |
목조주택이란?. (0) | 2009.06.02 |
경량목조주택 시공순서 (0) | 2009.06.02 |
데크공사의 유의 사항 (0) | 200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