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통 당시 인천 과 남동면·부내면(富內面, 부평 구읍)·서곶면 등 4개면이 인천부(仁川府)에 편입됨으로써
옛 부평의 대부분 지역이 인천부(仁川府)로 편입되게 되었다.
광복(光復) 수 1973년 소사읍(素 邑)이 부천시(富川市)로 승격됨에 따라 부천군(富川郡)은 없어지고
부천군에 속하였던 각 면은 김포군·시흥군·웅진군·등에 편입이 되었다.
|
|
|
현재의 인천 모습 |
공업도시로서의 비약적 발전 |
미래의 신도시 인천드림 |
광복 후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地方自治制)가 실시됨에 따라
인천부는 시(市)로 승격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에는 부천군의 작약도(芍藥島)가
인천시에 편입되었다. 1967년 3월 구제도(區制島)가 실시됨에 따라 1968년 1월 1일을 기하여
인천시에는 중구·동구·남구·북구의 4개 구가 설치 되었다.
1981년 7월 1일에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88년 1월 1일 서구·남동구가 증설되어
6개구가 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에는 김포군 계양면(桂陽面)과 옹진군 용유면(龍流面)·영종면(永宗面)이 편입됨으로써
인천직할시의 면적이 338.83㎢에 이르게 되었다.
자료: 인천광역시 통계연보, 2000
인천역사 간략보기 |
고대 |
(인천 각 지방의 고인돌과 문학산, 계양산에서 각종 석기들을 발견)
|
고려 |
<경원군(慶源 郡)>으로 승격
(부평 : 수주로 개칭(940). 의종 4년(1150) 안남도호부 설치, 고종 2년(1215) 계양도호부로 개칭, 충렬왕 34년(1308)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 · 옹진 : 태조 23년(940) 옹천을 온진(饔津)으로 개칭, 백령진 설치 · 강화 : 태조 23년 강화로 개칭, 현을 둠(995), 고종 19년(1232) 강화천도군으로 승격, 우왕 3년(1377) 강화부로 승격)
|
조선 |
(강화 : 인조 5년(1627) 강화유수부(江華留守府)로 승격)
(옹진 : 숙종 45년(1719), 황해수영 설치, 옹진현-도호부로 승격) |
근현대 |
(부평 : 인천부에 속함, 옹진 :해주부 옹진군 강령군으로 개편 황해도로 이속)
(부평 : 경기도 부평군으로 개편, 강화 : 건양1년 강화부로 변경)
(옹진 : 백령면 대청출장소 설치(1962), 부천군 도서 6개면 편입(1973), 대청면 신설(1974). 강화 : 강화읍으로 승격(1974)
(옹진 : 자월면 신설(1983) · 강화 : 양오리 송해면 편입(1983))
면적이 958.01km로 3.56배가 늘어서 현재 서울보다 면적이 1.5배가 된다. |
인천역사 시대별 변천과정 |
시대 |
연대 |
지명 |
비고 |
백제 |
|
미추홀(彌 鄒 忽) |
백제 비류왕이 도읍 |
고구려 |
|
매소홀(買 召 忽) |
고구려 장수왕 한강유역 진출 |
통일신라 |
757 |
소성현(邵 城 縣 ) |
경덕왕 16년에 통일신라의 제도 |
고려 |
1018 |
수주(樹州) |
태조 왕건의 고려 건국 |
조선 |
1392
1460 |
인주(仁州 )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 ) |
태조 이성계의 조선건국 |
근대 |
1895 |
인천부 (仁 川 府 ) |
행정개편 |
현대 |
1949 |
인천시(仁 川 市 ) |
행정개편 |
'나의공부방 > 추억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의 문화재 (0) | 2008.10.04 |
---|---|
인천의 캐릭터 (0) | 2008.10.04 |
인천의 옛모습-1 (0) | 2008.09.28 |
인천의 대표적인 옛 문화재 (0) | 2008.09.28 |
인천 (仁川)의 옛 모습 (0) | 200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