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는 가고/이필원 그대는 가고/이필원 작사 지명길 / 작곡 이필원 그대는 가고 쓸쓸한 거리에 낙엽은 지고 황혼이 지는데 아 ~ 사무치는 아 ~ 그리움에 아득한 옛 추억을 못 잊어서 나 홀로 운다 그대는 떠나 세월은 흐르고 강물도 흘러 슬픔을 씻는데 아 ~ 흩어지는 아 ~ 그 목소리 아득한 메아리가 .. 국내가요/가요[가] 2008.05.20
바람아 실어가라 / 이필원 바람아 실어가라 /이필원작사:이필원/작곡:이필원바람아 실어가라 떠오르는 먹구름을바람아 실어가라 외롭던 그날을떠오는 햇님이 웃어보이면 우리네 그림자하나 둘 걸어간다발자욱을 남긴 곳엔 꽃송이 피어나면생각던 마음에는 떠오르는 님의 얼굴바람아 실어가라 외롭던 그날을 국내가요/가요[바] 2008.05.20
바위돌꽃 (Rhodiola tachiroei) 15. 바위돌꽃 (Rhodiola tachiroei) 바위돌꽃 Rhodiola tachiroei 과 명 : 돌나물과 분포지 : 북부 지방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월 용 도 : 관상용. 약용 우리 나라 북부 지방, 백두산 일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키는 20센티미터 가량 된다. 희긋희긋하게 윤기가나는 잎은 어긋나 있으며 잎자루.. 평생공부방/한국야생화 2008.05.20
양꽃주머니 (Adlumia asiatica) 14. 양꽃주머니 (Adlumia asiatica) 양꽃주머니 Adlumia asiatica 과 명 : 양꽃주머니과 분포지 : 북부 지방의 산지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월 용 도 : 관상용 우리 나라의 북부 지방에서 자라는 양꽃주머니는 여러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백두산 앨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줄기는 1,2미터 가량 되고 잎.. 평생공부방/한국야생화 2008.05.20
산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13.산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산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과 명 : 성탄꽃과 분포지 : 북부 지방 개화기 : 7~8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관상용. 약용 고산지대의 중턱에서 많이 자라는 산매발톱은 우리 나라에서는 백두산 일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 평생공부방/한국야생화 2008.05.20
무지 사랑해 / 羅勳兒[덤수록곡-4] 무지 사랑해 / 羅勳兒 널 처음 본 순간 나는 알았어! 내사랑 이란걸 나는 알았어! 널 처음 본 순간 나는 느꼈어! 비켜갈 운명이 아니 라는걸, 무엇이 이보다 아름다울까? 보고 있어도 “보고픈 사랑” 무엇이 이보다 예쁠 수 있을까? 곁에 있어도 “그리운 사랑” 사랑해 말보다 더 좋은 말 .. 아리랑 사나이/마 2008.05.20
내가 미쳤었나봐 / 羅勳兒[덤수록곡-3] 내가 미쳤었나봐 /羅勳兒[덤수록곡-3] 작사:나훈아/작곡:나훈아 오히려 나를 위로하며 웃으면서 떠난 너 차라리 나를 원망했다면 마음이나 편할걸 미안하다 미안했었다 이미늦은 후회했지만 뻔뻔하게 너를 그린다 니가 자꾸 보고 싶다 니가 너무 보고싶다 오히려 나를 걱정하며 두말없이.. 아리랑 사나이/나 2008.05.20
마흔번째봄/ 羅勳兒[덤수록곡-2] 마흔번째봄/ 羅勳兒[덤수록곡-2]세월이 나를 울리네 세월이 나를 울리네 세월이 밉진 안아도 세월이 부르진 안아 (훈아 훈아 나훈아) 난 전혀 변한게 없어 (훈아 훈아 나훈아) 솔직히 째끔 변했어 (훈아 훈아 나훈아) 그래 많이 변했다 세월은 덧없이 흘러 어느새 마흔번째 봄 세월이 나를 .. 아리랑 사나이/마 2008.05.20
세월베고 길게 누운 구름 한조각 / 羅勳兒(덤수록곡-1) 세월베고 길게 누운 구름 한조각 / 羅勳兒(덤수록곡-1) 늙은 산 노을 업고 힘들어하네 벌겋게 힘들어하네 세월베고 길게누운 구름 한조각 하얀 구름 한조각 여보게 우리 쉬었다 가세 남은잔은 비우고 가세 가면 어때 저세월 가면 어때 이 청춘 저녁깔린 뒷마당에 쉬었다 가세 여보게 쉬었.. 아리랑 사나이/사 2008.05.20
개황기 (Astragalus uliginosus) 12. 개황기 (Astragalus uliginosus) 12. 개황기 Astragalus uliginosus 과 명 : 콩과 분포지 : 북부지방 개화기 : 6~8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약용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에서는 백두산 지역의 고원에서 볼 수 있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나 있고 줄기는 곧게 섰으며 가지가 갈라.. 평생공부방/한국야생화 2008.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