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적 공 사
조적공사는 벽돌,블럭,돌공사 등을 포함한다.
영국의 조적공사는 돌을 가공하여 설치하는 돌공사를 의미한다.
그러나 스코틀랜드에서는 벽돌공사와 타일공사도 조적공사에포함한다.
벽돌의 길이도우리아라는 190mm를 기본으로 하지만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덴마크는
210~220mm 정도이며, 독일, 스위스, 멕시코는 250mm, 노르웨이, 스웨덴은 300mm를
규격 치수로 한다.
1)벽 돌 공 사
순수 조적조 건축물의 내력벽이나 철�콘크리트 건축물 내,외벽의 칸막이벽 축조의 공정이
된다.
치장쌓기로 외관을 아름답게하는 경우와 방수층 누름벽돌쌓기, 화단 만들기 ,굴뚝 등 보조공사에 적용되고 있다.
건설공사의 건식 벽체화 경향에 따라 벽돌공사응 감소하고 잇으며 사용 범위가 점차 줄고있다.
벽돌공사는 벽돌의 종류,품질, 사용장소, 쌓기 방법, 시공의 난이도, 마무리 방법에 따라 공임의 차이가 난다.
그러나 때로는 평균가격을 상정하여 총괄적으로 산출하기도 한다.
1)산 출 자 료
1>표준 벽돌 크기 : 190 x 90 x 57
2>기존형 벽돌 크기 : 210 x 100 x 60
3>벽돌의 종류 : 붉은 벽돌, 시멘트 벽돌, 파 벽돌, 블록, ALC벽돌, 내화 벽돌, 경량 벽돌 등
4>쌓기 매수 : 산출 개구부 면적을 제외한 쌓기 면적 x 단위 면적당 매수
5>벽돌 소요량 : 규격별 쌓기 합산 x 할증률 가산
6>할증률 : ㄱ.시멘트 벽돌 : 5%
ㄴ.붉은 벽돌, 고압벽돌, 내화벽돌 : 3%
7>벽돌 산출 방법
ㅡ재료, 설치부위, 치장줄눈의 유무, 시공 방법, 두께를 구분하여 산출.
ㅡ0,5B쌓기,벽면적 1㎡, 줄눈 크기 = 1cm, 벽면적 A일때 , 기준형 벽돌 (201 x 100 x 60)
1 X 1 1
A= = = 65매
(0,21 + 0,01) X (0,06 + 0,01) 0,0154
ㅡ표준형 벽돌 (190 X 90 X 57 )
1 X 1 1
A= = = 75매
(0,19 + 0,01) X (0,057 + 0,01) 0,0134
ㅡ0,5B : 벽체 두께가 벽돌 한장 폭인 90mm
ㅡ1,0B : 벽체 두께가 벽돌 한장 폭인 190mm
ㅡ1,5 B : 0,5B + 1,0B 즉 90 mm + 190 mm 에 벽돌사이 시멘트 몰탈 10mm 합하여
290mm
ㅡ2,0B : 190 (1,0B) + 10 (몰탈) + 190 (1,0B) 이므로 390 mm
ㅡ2,5B : 390 (2,0B) + 10 (몰탈) + 90 (0,5B) 이므로 490mm
공간벽일 경우
ㅡ1,0B 쌓기 : 90mm + 50 (단열재 : 스치로폴) + 90mm = 230mm
ㅡ1,5B 쌓기 : 90mm + 50 (단열재) + 190mm = 330mm
ㅡ2,0B 쌓기 : 190mm + 50(단열재) + 190mm = 410mm
8>면적 산출
ㅡ벽돌 종류별 ,품등별 ,두께 ,높이가 동일한 길이 x 높이
ㅡ문꼴, 기타 개구부의 면적을 따로 계산하여 벽면적에서 공제.
2)산 출 기 준
1>막쌓기 벽돌일때
ㅡ벽체 두께별 구분 : 0,5 B , 1,0 B , 1,5 B 구분.
ㅡ개구부, 인방, 방수턱 등 공제한 실 소요면적 산출
2>치장 쌓기 벽돌일때
ㅡ벽돌 종류별 ,두께별, 치장면(양면, 한면치장)으로 구분하여 실면적 산출
ㅡ공간벽 쌓기
ㄱ.단열재와 함께 산출.
ㄴ.긴결철물은 전체면적에 비례한 수량 산출하며 ㎡ 당 0,2kg임.
ㄷ.치장 줄눈재, 백화 방지제, 사용은 시방서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ㄹ.창대 상부의 치장벽돌 철물, 접착제는 도면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3>아치 쌓기일때
ㅡ벽돌의 종류별 ,규격별, 마감별, 두께로 구분하여 실면적 산출한다.
ㅡ아치쌓기용 받침재료는 별도 구분하여 산출한다.
ㄱ.폭 x 높이 x 길이별 구분
ㄴ.평아치, 곡면아치 등으로 구분하여 개소 산출
ㄷ.아치쌓기용 벽돌 다듬기가 필요할 때 별도로 매당 산출.
4>내화벽돌 쌓기일때
ㅡ벽돌의 구격별, 두께별로 구분하여 실면적을 산출한다.(동일 건물은 동일 규격 적용)
5>벽돌 바닥깔기
ㅡ세로로 세워 깔기, 평깔기로 구분
ㅡ표준형, 기존형으로 벽돌 구분.
6>벽돌 소운반
ㅡ층별로 벽돌수량을 구분하여 산출.
ㅡ0~3,6m , 3,6~7,2 m ,7,2m 이상
ㅡ수량은 총괄 집계표로 정리할 때 구분한다.
7>기타 수량 산출
ㅡ나무벽돌, 앵커 철물 등은 마감공사에서 별도 산출
ㅡ특수한 의장쌓기 ,벽돌 면적은 구분하여 산출한다.
ㅡ규준틀은 가설공사에서 산출하여 적용한다.
* 블 록 공 사
콘크리트 블록은 건물의 대량 생산, 경량화, 불연 구조화가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 단축이 된다.
그러므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 내화성, 내풍, 내진, 단열성, 방음이 우수하다.
블록과 몰탈을 접착하여 겹겹으로 쌓아 철�콘크리트 건물의 칸막이벽과 조적조의 내력벽에 이용되고 블록 속에 철근을 넣어 횡력을 보강한 보강 블록 구조, 블록으로 거푸집을 대신한 거푸집 블록 구조 등이 있다
블록의 종,횡줄눈은 10mm를 기준으로 하며 내력벽에 사용하는 보강 블록 구조의 철근 직경은 D10, D13을 사용한다.
1)산 출 자 료
1>블록 치수 : 390 x 190 x 210
390 x 190 x 190 <8`` 블록>
390 x 190 x 150 <6`` 블록>
390 x 190 x 100 <4`` 블록>
2>블록 치수 <표준형> : 290 x 190 x 190
290 x 190 x 150
290 x 190 x 100
3>블록 매수
ㅡ기본형 : 13매/㎡
ㅡ표준형 : 17매/㎡
2)산 출 기 준
1>기본형 블록 13매 살출 방법 <1㎡당 13매>
1 m X 1 m
A = = 12,5매
(0,39 + 0,01) X (0,19 + 0,01)
정미량에 4% 할증은 13매
2>콘크리트 블록 쌓기
ㅡ양면 치장쌓기, 일면 치장쌓기, 보통쌓기로 구분하여 산출.
ㅡ4`` , 6`` , 8`` ,의 규격별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ㅡ블록 메시 <Block Mesh> : 3단 마다 설치한다.
ㅡ와이어 메시 <Wire Mesh> : 시방서 기준. 블록면적 총 집계 후 면적 비례에 의해 규
격별 산출.
ㅡ쌓기 면적 : 벽체의 안목 치수 높이 X 안목 치수 너비
3>보강 블록 쌓기
ㅡ철근콘크리트 물량은 별도 산출하지 않고 일위 대가표에 포함시키거나 전체 수량 집계 후
구분하여 산출한다.
ㅡ수직 보강근 길이 : L = 1,6m 기준, 블록 3단마다 1개소 보강.
애석하게도 조적공사는 거의 모든 건축에서 사라져가는 공종이 되어 버렸다.
건축 구조물의 중량<하중>을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실 꼭 필요한 공종은 아니라고 본다.
단 건축공종의 한 분야로 조적공종이 사라진다는 것이 아쉽다.
이에 대체될 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드라이 월 <Dry Wall>등 가볍고 튼튼할 뿐만 아니라 견고함 또한 장점이다.
조적벽을 대체할 자재 및 공법이 수도없이 많이 개발 보급되어 있다.
어찌보면 공사기간의 단축에도 엄청난 변화가 오고있는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자재 및 공법의 개발이 좀더 활발히 일어나기를 건축인으로서 기대하여 본다.
'집짓는 이야기 > 목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의 특성 및 효율성 (0) | 2012.12.21 |
---|---|
유리섬유 단열재[인슐레이션] (0) | 2012.12.21 |
자착식 방수쉬트(ice & water shield)| (0) | 2012.12.21 |
목조주택 구조 해설도 (0) | 2012.12.21 |
O.S.B (Oriented Strand Board) 합판 (0) | 2012.12.21 |